메뉴 닫기

석재의 품질관리

석 재 오 염

석재의 더러움의 원인이나 오염 물질의종류는 다른 건축자재와 같습니다. 그러나 “석재의 더러움”을 없애는 점에서는 매우 복잡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천연석재에는 “기공” 이란 구멍이 있고 이구멍에 수분이 들어가, 경우에 따라서는 석재뒤쪽까지 (뒤쪽에서 앞쪽으로) 수분이 투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성질이 석재의 더러움의 특징입니다. 즉 석재 내부에 들어가 석재의 일부(고착)가 되는 내 부오염입니다. 표면에 부착된 더러움은 수분 등이나 부적절한 관리(청소등)에 의해 내부 오염으로 발전합니다.

내부오염은 밑에서 발생하는 수분등에 많이 발생하여 석재 관리를 어렵게 합니다.

1. 더러움의 발생원인에 의한 분류

A. 외장재에 사용된 경우

외장재 사용의 경우는 더러운 대기 오염을 포함한 산성비, 그 위에 직사 광선이나 눈의 영향을 직접 받습니다.

따라서 외장재로서는 내후성이 풍부한 화강암이 주력입니다. 빗물에 의한 석재뒤쪽(이면)에 백화, 황변 및 빗물 줄무늬등이 외장 더러움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더러운 대기오염

백화 및 빗물 줄무늬

B.내장재에 사용 되는 경우

내장에 사용되는 경우는 산성 비등에 영향을 받기 어렵지만, 내장 특유의 더러움이 발생합니다.

내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석재는 주로 대리석입니다. 경도(딱딱함)가 낮고 산성에 약합니다. 건축물의 1층로비에 흰색계열이 많아 더러움이 쉽게 눈이 띄어 관리가 힘이 듭니다.

사람 통행이 많은곳에 짐승길이 생기고 토사(흙),먼지에 상처(스크레치)가 발생합니다. 벽면에 담배연기얼룩 ,엘리베이터 버튼주변 손때, 화장실얼룩, 주방 출입구 얼룩, 커피, 음료수 등에 의한 얼룩, 현관매트자국 얼룩, 테이프 흔적 등이 대표적인 내장재의 더러움입니다.

유성오염

황변

스티커 자욱

2. 더러움 제거법에 의한 분류

A.가루,고체의 더러움 : 더스트 콘트롤등으로 제거한다.

먼지, 흙, 껌 등의 더러움은 대부분은 내부 오염으로 변형될수 있어 각종 세제로 제거하거나, 세정법, 찜질법, 흡착법 등의 방법이 필요합니다.

B.유기용제,세제 : 오일, 매직잉크, 손때등

C.세제,물 : 커피, 주스들

D.환원제(화학적 처리가 필요한 더러움) : 녹, 탄닌계 수용성 오염 등

E.산화 표백제(과학적인 처리가 필요한 더러움) : 수용성 오염, 물감 등

F.산성 세제 : 녹 ,백화, 황변 등

G.특정 약품 : 접착제, 염료 등

주의:

※ 세제는 유기용제→세제→환원제→표백제→산성세제로 진행합니다. (유기용제는 증발이 빨라 석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순서를 바꾸면 전과정에 세제가 잔류해서 효과가 미흡하게 됩니다. (1차처리와 2차처리 등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사전에 석재 성질과 예비테스트를 합니다.

※ 작업은 습식 진공후 헹굼한다.

위 방법을 생략하면 석재에 문제가 의외로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라임스톤,사암에서 많이 발생합니다.